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엑셀에서 데이터 유효성 검사로 데이터 오류 찾기 검사 하는 법

IT/엑셀

by likeapricot 2022. 1. 15. 06:43

본문

반응형

 

 

엑셀 데이터 오류 찾기

 

 

 

 

 

앞 선 포스팅에서는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이용해서, 지정된 틀 안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도록 지정하는 법을 알아보았다. 목록을 정해서 계절만 적을 수 있게 하거나, 정해진 범위의 날짜안에서만 날짜를 적을 수 있게 하거나 하는 식이었다. 

 

2022.01.14 - [IT] - 엑셀 데이터 유효성 검사 목록 날짜 오류메세지 입력하는 방법

 

엑셀 데이터 유효성 검사 목록 날짜 오류메세지 입력하는 방법

엑셀 데이터 유효성 검사 목록 & 날짜 & 오류메세지 설정하는 법 엑셀 데이터 유효성 검사 '설정'을 이용해서 다양한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그 중, 목록과 날짜에 대해서 설정하는 법을 알아보

likeapricot.tistory.com

 

 

그럼 그걸 역으로 이용하면 오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유효성 검사는, 정해진 틀 안에서 해당 열의 내용이 한정적일 때 사용하면 유용하다.

 

 

 

 

 

 

목록을 정해두고, 해당 목록에 해당되지 않으면 오류로 표시할 수도 있다.

글자수를 정해두고, 우편번호나 날짜가 해당 글자수를 넘어가면 오류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정 금액 이하로만 금액을 적을 수 있게 정할 수도 있다. 그 이상 넘어가는 데이터는 오류로 나타나도록 말이다.

 

 

 

이미 적어둔 파일의 오류를 하나씩 찾아내고자 할때,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이용해보자.

생각보다 한번만 해 놓으면 어렵지 않고 쉽게 할 수 있다.

 

 

 

 

 

반응형

 

 

 

원본 데이터 예시

 

 

 

 

 

이미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유효성 검사'로 오류 데이터를 검사해보겠다.

 

각각 열마다, 적용하는 값을 다르게 하여 다양하게 오류를 찾는 법을 알아볼 예정이다. 해당되는 예시에 맞게 응용해보도록 하자.

 

 

일단 오류를 찾기 위해서는

 

1. 데이터가 입력된 셀을 연다.

2. 각 열마다 데이터 유효성 검사 조건을 입력한다.

3. 최종적으로 오류검사할 셀을 블락지정하고, 잘못된 데이터를 클릭하여 오류를 찾는다.

 

이 순서로 진행하면 된다.

 

 

텍스트 길이 수 제한하여 오류 데이터 찾기

 

 

 

 

첫번째 회원번호 열에 입력되는 숫자의 자리수를 10자리까지로 제한하여 오류를 찾도록 하겠다.

 

 

 

 

[데이터] -> [데이터 유효성 검사] -> [데이터 유효성 검사] 를 클릭한다.

 

 

 

 

[설정] -> [제한대상] 텍스트길이로 선택한다.

 

[제한방법]은 부등호로 표시가 되어 있다.

 

완전 같을때, =

>= 이상

<= 이하

> 초과

< 미만

 

으로 선택이 가능하다.

이 부등호는 엑셀을 사용하면서 정말 많이 사용하게될 기호이니 꼭 숙지하도록 하자.

 

 

 

 

 

 

[제한방법]을 =로 선택한다.

여기에서는 정해진 길이의 글자수로만 지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길이]에 10을 입력한다.

10자리만 허용하기 위해서다.

 

 

 

 

목록 정해서 오류 데이터 찾기

 

 

두번째 열인 계절 열 아래를 블락지정한다.

 

계절은 봄,여름,가을,겨울로 지정되어 있어서 목록으로 설정해보려고 한다.

해당 방법은 앞선 포스팅에 더욱 자세히 나타나 있다.

한번 더 언급하니 참고가 되시길.

 

 

[설정]에서

 

[제한대상] 목록

[원본] 봄,여름,가을,겨울 이라고 직접 입력한다.

목록 구분은 콤마(,)로 한다.

원본 영역에 원하는 목록을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하면 된다.

 

 

 

최대값 정해서 오류 데이터 찾기

 

 

4번째 열인 '회원가' 부분을, 10만원 이상인 조건으로 걸어두려고 한다.

10만원 이하면 오류가 되는 셈.

 

 

 

 

[설정]에서

 

[제한대상] 정수

정수는 그냥 숫자로만 입력하고 싶을 때, 선택하면 된다.

 

[제한방법] >=

이상을 선택할때는 >=, 이하는 <=

 

[최소값]에 100000 을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한다.

 

 

날짜 지정해서 오류 데이터 찾기

 

 

 

마지막 열인 날짜를 정해놓은 날짜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오류로 표시되게 해 보겠다.

 

해당 날짜 부분도 앞선 포스팅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였다.

 

 

 

 

[설정]에서

 

[제한대상] 날짜

[시작날짜]와 [끝날짜]에 직접 입력한다.

 

 

 

잘못된 데이터 찾기로 오류 데이터 검사!

 

 

 

 

최종적으로, 오류검사를 해보겠다.

정해놓은 조건 이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오류 데이터로 표시가 되는 것이다.

 

 

1. 오류를 검사할 셀을 블락지정한다.

 

 

 

 

2. [데이터 유효성 검사] -> [잘못된 데이터]를 선택한다.

 

 

 

3. 데이터 오류 검사가 완료되었다.

 

오류인 셀에는 빨강 동그라미로 표시가된다.

지정된 조건이 아닌 셀들을 의미한다.

 

이 방법으로 오타를 찾아낼 수도 있다.

 

예시는 아주 짧지만 긴 문서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되니 문서 작성시 응용해보도록 하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